중1과학 5

2-3. 생물의 분류

오늘은 2단원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의 세 번째 중단원인 생물의 분류입니다. 분류는 나누는 것이죠.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있죠. 크게 동물과 식물과 나눌 수 있고, 동물도 하늘을 나는 동물과 지상에서 살고 있는 동물등... 어떻게 분류를 할까? 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생물의 분류1) 생물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비슷한 종류의 무리로 나누는 것으로, 생물 사이의 가깝고 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2) 생물 분류 기준 편의에 따라 기준을 정함생물 고유의 특징에 따라 기준을 정함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 생물이 사는 곳등세포의 구조, 몸의 구조, 광합성 여부, 번식 방법등 그럼 과학자들을 어떤 기준으로 생물을 분류할까요? 편의에 따라 기준을 정하는 것은 사람에 따라서 기준을 정하는 것이..

중1과학 2025.03.26

2-2 생물다양성

공부 어떠세요?? 사람마다 느끼는 감정은 다르죠? 생각도 다양하고, 방법도 다양하죠?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할 수 있을까요?? 생각해 본 적 있으세요? 제 의견은 꾸준함입니다. 늘 꾸준하게 조금씩이라도 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오늘은 2단원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의 두 번째 중단원인 생물다양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생물다양성1) 생물다양성은 특정 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의 다양한 정도입니다. 2) 생물다양성에는 생태계의 다양함, 생물 종류의 다양함, 같은 종류의 생물에서 나타나는 특징의 다양함이 포함되어 있죠. (생태계는 환경 안에서 살고 있는 생물적 요소와 빛, 온도, 공기와 같은 비생물적 요소로 구성된 체계로 지구가 하나의 커다란 생태계로 봐도 되죠.)생태계의 다양함 - 강, 사..

중1과학 2025.03.21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관찰 실험

생물에는 동물과 식물로 나눌 수 있죠? 그리고 생물의 가장 기본 단위가 세포이잖아요. 앞에서 식물세포에는 있지만, 동물세포에는 없는 것이 있죠? 엽록체와 세포벽이죠. 과연 세포 소기관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볼까요???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관찰동물세포 관찰 실험(입안 상피세포)① 면봉으로 입 안쪽의 볼을 가볍게 문지른 후 면봉을 받침 유리 위에 문지른다. ② 메틸렌 블루 용액을 받침 유리에 한 방울 떨어뜨린다. ③ 덮개 유리를 비스듬히 하여 천천히 덮는다. ④ 거름종이로 현미경 표본을 감싸고 엄지손가락으로 지그시 눌러 여분의 용액을 제거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식물세포 관찰 실험(검정말 잎)① 검정말에서 잎을 하나 떼어낸 후, 받침 유리위에 올려놓는다. ②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받침유리에 한 방울 ..

중1과학 2025.03.20

2-1 생물의 구성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우리도 생물이고, 우리가 키우는 식물, 개, 고양이등 모두가 생물이죠. 하지만, 나무, 바위등 무생물도 있습니다. 이 단원에서 생물을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볼게요.  1. 세포1) 생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단위는 세포라고 합니다. 이런 세포는 생명활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기본 단위라고 하죠. 즉, 세포들이 모여서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2) 생물은 크게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로 나눌 수 있는데요, 단세포 생물은 세포 하나로만 구성된 생명체이죠. 보통 세균, 짚신벌레, 아메바가 여기에 포함이 되고요, 다세포 생물은 여러 개의 세포로 구성된 생명체이죠. 사람, 개, 고양이, 소나무, 무궁화꽃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

중1과학 2025.03.15

중학교 1학년 과학 1학기 목차 - <22개정판>

25학년도 중학교에 입학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초등학교에서 벗어나서 이제 당당하게 청소년이 된 여러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여러분부터는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학습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양한 변화가 생기겠지만, 특히 학습 부분에서는 걱정보다는 자신감을 갖고 도전해 보세요~ 끈기 있게~~~ 꾸준하게~~~  중학교 1학년 과학은 크게 8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1단원부터 4단원까지 1학기, 5단원부터 8단원까지 2학기로 학습을 합니다만, 학교 선생님에 따라서 순서를 바꿔서 학습을 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1단원부터 순서대로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단원은 과학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이란 제목으로 총 3개의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첫번째는 생활 속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인 탐..

중1과학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