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과학

2-3. 생물의 분류

다시 수학과 과학을 공부하는 아빠 2025. 3. 26. 11:37

오늘은 2단원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의 세 번째 중단원인 생물의 분류입니다. 분류는 나누는 것이죠.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있죠. 크게 동물과 식물과 나눌 수 있고, 동물도 하늘을 나는 동물과 지상에서 살고 있는 동물등... 어떻게 분류를 할까? 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2.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2단원 3번째 중단원 생물의 분류



1. 생물의 분류
1) 생물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비슷한 종류의 무리로 나누는 것으로, 생물 사이의 가깝고 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2) 생물 분류 기준
 

편의에 따라 기준을 정함생물 고유의 특징에 따라 기준을 정함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 생물이 사는 곳등세포의 구조, 몸의 구조, 광합성 여부, 번식 방법등

 

그럼 과학자들을 어떤 기준으로 생물을 분류할까요? 편의에 따라 기준을 정하는 것은 사람에 따라서 기준을 정하는 것이므로 생물을 분류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물 고유의 특징을 기준으로 생물을 분류합니다.
예를 들면 세포벽이 있는 생물과 세포벽이 없는 생물, 광합성을 하는 생물과 광합성을 못 하는 생물, 번식방법이 알인지, 새끼인지 등등 이런 식으로~~

3) 생물의 분류를 하는 목적을 무엇일까요?

  • 생물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 같은 무리에 속하는 생물의 특징을 가지고 짐작(예측)을 할 수 있죠.
  • 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찾아서 새로 발견한 생물을 분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생물 분류의 과정은 어떻게 될까요?
- 생물을 관찰하고 특징 찾기 -> 분류 기준을 정하기 -> 분류 기준에 따라 무리를 나누기

2. 생물 분류의 단계
1) 과학에서는 항상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가 있습니다. 이를 기본단위라고 하는데요, 생물의 가장 기본단위가 세포이죠. 생물을 분류하는 데에도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가 있는데 이를 이라고 합니다. 종은 생김새와 생활 방식이 비슷하고 자연 상태에서 짝짓기를 했을 때 생식 능력이 있는 자손을 낳을 수 있는 무리입니다. (예를 들면, 사자와 호랑이 사이에서 태어난 라이거는 생식능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자와 호랑이는 같은 종이 아니죠. 하지만, 불테이어는 테리어와 불도그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생식능력이 있으므로 둘은 같은 종이라고 보면 됩니다.)
 

백호 라이거
2014년 1월 6일 백사자와 백호의 교배가 성공하여 세계최초 화이트 라이거- 나무위키 참조



2) 생물은 종에서 계까지 총 7단계로 분류합니다. 분류단계가 높아질수록 범위가 넓어지죠. (작은 분류단계에 함께 속해 있을수록 가까운 관계이예요^^)

  •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 (종이 가장 작은 기본 단위, 그다음이 속, 과, 목, 강, 문, 계 순서입니다.)
  • 비슷한 특징을 지닌 종끼리 묶어 속으로 분류하고, 비슷한 특징을 가진 속끼리 묶어 과로 분류하고, 비슷한 특징을 가진 과끼리 묶어 강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문과 계를 구성합니다.
  • 호랑이는 호랑이(종) - 큰 고양이 속 - 고양잇과 - 식육목 - 포유강 - 척삭동물문 - 동물계입니다.
  • 사람은 사람(종) - 사람 속 - 사람과 - 영장목 - 포유강 - 척삭동물문 - 동물계 이죠.
  • 개는 개(종) - 개속 - 개과 - 식육목 - 포유강 - 척삭동물문 - 동물계입니다.
  • 이를 통해서 사람은 영장목, 개와 호랑이는 식육목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개와 호랑이가 사람과 호랑이보다 더 가까운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물 분류 7단계
생물 분류 7단계 (종속과목강문계, 고양이는 곰보다 사자와 더 가까운 관계^^)- 네이버 참조



3. 생물 분류체계
1) 생물분류단계는 생물을 큰 단위에서 작은 단위로 범위를 좁히면서 분류를 했다면, 이번에는 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분류를 하는 것으로, 5가지로 분류를 하여 5계 분류라고 합니다.
2) 5계 분류에는 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식물계, 균계, 동물계로 분류를 하고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생물분류체계입니다.

생물 5계 분류
생물 5계 분류 -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3) 5계 분류체계는 분류기준이 있는데요,

  • 첫 번째 기준이 핵이 있는가? 없는가?입니다. 핵이 없으면 원핵생물계이고, 나머지 원생생물계, 식물계, 균계, 동물계는 핵이 있습니다.
  • 두 번째 기준은 세포벽의 유무
  • 세 번째 기준은 운동성의 유무
  • 네 번째 기준은 광합성의 유무 로 되어 있습니다.
  • 생물 분류체계는 18세기 린네이 2계로 분류했어요. 동물계와 식물계로 하지만, 19세기 헤켈이 동물계와 식물계, 그리고 원생생물계로 분류하면서 3계로 되었다가 20세기 들어와서 휘태커가 지금의 5계로 분류를 했어요.^^

4) 원핵생물계
-  원핵세포로 이루어짐.
- 지구상에 최초로 출현한 생물 무리
- 대부분 단세포 생물이지만, 여러 세포가 모여 덩어리를 이루기도 함.
- 주로 분열법으로 번식
- 예) 헬리코박터균, 남세균, 대장균, 결핵균이 들어감.(보통 균이 들어가서 균계로 보면 안 됨)


5) 원생생물계
- 진핵세포로 이루어짐.
- 대부분 조직이나 기관이 발달하지 않았다.
- 대부분 단세포 생물이지만, 다세포인 생물도 있다.
- 광합성을 하는 생물도 있고, 먹이를 섭취하는 생물도 있다.
- 대부분 물속에서 생활한다.
- 예) 짚신벌레, 아메바, 유글레나, 미역, 다시마 등
 
6) 식물계
-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다세포 생물
-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듦.
- 세포벽이 있고, 육상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구조로 발달함.
- 종자나 포자로 번식
- 관다발의 유무, 종자의 유무, 씨방의 유무, 떡잎의 수 등의 기준에 따라서 속씨식물, 겉씨식물, 외떡잎식물, 쌍떡잎식물등으로 분류

외떡잎 식물과 쌍떡잎 식물의 비교
구분외떡잎 식물쌍떡잎 식물
떡잎 수1장2당
잎맥 모양나란잎맥그물맥
관다발 배열불규칙한 배열규칙적인 배열
뿌리모양수염뿌리곧은뿌리

 
- 예) 우산이끼, 소나무, 고사리, 민들레, 해바라기등
 
7) 균계
- 대부분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다세포 생물
-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양분을 흡수하여 살아감
- 버섯과 곰팡이는 세포벽이 있고, 몸이 균사로 이루어짐.
- 버섯과 곰팡이는 몸 밖으로 효소를 분비하여 먹이를 분해한 후 흡수함.
- 주로 포자로 번식
- 예) 버섯, 곰팡이, 효모
 
8) 동물계
-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다세포 생물
-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세포벽이 없음
-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먹이를 섭취하여 양분을 얻음.
- 운동기관이 발달되고, 대부분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계가 있다.
- 입의 분화, 척삭의 유무 등의 기준으로 해면동물, 선형동물, 연체동물, 절지동물, 극피동물, 척삭동물등으로 분류함.
- 척삭동물 중 척추동물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로 분류한다.
- 예) 사람, 오징어, 플라나리아, 해파리, 불가사리, 사자, 독수리등
 
9)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

구분원핵세포진핵세포
세포막있다.있다.
없다.있다.
마이토콘드리아(미토콘드리아)없다.있다.
엽록체없다.없다/있다.

 
- 엽록체는 식물계와 일부 원생생물계만 가지고 있습니다. 
 

'중1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생물다양성  (3) 2025.03.21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관찰 실험  (1) 2025.03.20
2-1 생물의 구성  (0) 2025.03.15
중학교 1학년 과학 1학기 목차 - <22개정판>  (1)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