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

1.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 화학 반응과 화학 반응식

앞에서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어떠세요?? 어떤 반응이 물리 변화이고, 화학 변화인지 구분이 되세요??? 예를 들면 물에 갈색 설탕을 녹였습니다. 이는 물리 변화일까요? 화학 변화일까요? 답은 맨 아래에 있어요^^  화학반응과 화학반응식앞에서 물질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를 하자면, 물질의 성질이 변하는지 아니면 안 변하는지에 따라서 화학 변화와 물리 변화로 나누죠. 두 물질을 반응시켰을 때 두 물질의 성질이 변하면 화학 변화이고, 두 물질의 성질이 처음과 같으면 물리 변화이죠. 그럼 두 물질을 반응시켜서 성질이 전혀 다른 물질이 되는 반응을 화학반응입니다. 이런 화학반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화학 반응물질이 화학 변화를 하여 다른 물질로 변하..

중3과학 2025.03.17

1.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 물질의 변화

중3 과학 1단원에는 총 3개의 중단원이 있습니다. 물질의 변화, 화학반응의 규칙, 화학반응과 에너지 변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단원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질의 변화물리 변화와 화학변화물질의 변화에는 크게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가 있는데요, 간단하게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 변화를 물리 변화, 물질의 성질이 변하는 변화를 화학 변화라고 합니다. 그럼 하나씩 볼까요? 1. 물리 변화물리 변화는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으면서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는 물질의 변화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달걀이 깨진다. 향수 냄새가 퍼진다. 얼음이 녹는다. 등이 물리 변화입니다. 모양 변화상태 변화확산용해- 종이를 자른다.- 캔이 찌그러진다.- 달걀이 깨졌다.- 물이 끓는다.- 얼음이 녹는다.- 드라이아이스의 크..

중3과학 2025.03.17

1. 물질의 구성 - 1)원소

중2 과학 첫 번째 단원은 물질의 구성입니다. 물질의 구성에는 총 3개의 중단원이 있는데요, 원소, 원자와 분자,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죠. 오늘은 첫 번째 중단원인 원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원소1. 물질관(고대부터 근대까지)- 과연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여러분은 이런 생각 해 본 적 없으세요? 많은 학자들도 물질의 기본 성분에 대해서 많은 주장을 했죠. 크게 고대, 중세, 근대로 구분을 합니다. 대표적인 학자들만 볼까요? 1) 고대 물질관(탈레스, 아리스토탈레스)- 탈레스는 모든 물질의 근원은 물이라고 했죠. 즉, 모든 물질은 물에서 시작한다는 것.- 아리스토탈레스는 모든 물질은 물, 불, 흙, 공기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원소는 4가지 성질(따뜻함, 차가움, 건조함, 습함)의..

중2과학 2025.03.16

2-1 생물의 구성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우리도 생물이고, 우리가 키우는 식물, 개, 고양이등 모두가 생물이죠. 하지만, 나무, 바위등 무생물도 있습니다. 이 단원에서 생물을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볼게요.  1. 세포1) 생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단위는 세포라고 합니다. 이런 세포는 생명활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기본 단위라고 하죠. 즉, 세포들이 모여서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2) 생물은 크게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로 나눌 수 있는데요, 단세포 생물은 세포 하나로만 구성된 생명체이죠. 보통 세균, 짚신벌레, 아메바가 여기에 포함이 되고요, 다세포 생물은 여러 개의 세포로 구성된 생명체이죠. 사람, 개, 고양이, 소나무, 무궁화꽃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

중1과학 2025.03.15

중학교 3학년 과학 목차 - 1학기

3학년 과학은 총 8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1학기에는 4개의 단원을 배우게 됩니다. 1단원은 화학변화와 규칙성으로 화학파트, 2단원은 기권과 날씨로 지구과학파트, 3단원은 운동과 에너지로 물리파트, 4단원은 자극과 반응으로 생명과학 파트예요. 각각의 단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1학기에는 1단원부터 4단원까지, 2학기에는 5단원부터 8단원까지 학습하게 됩니다.    1단원은 화학변화와 규칙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개의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첫번째 중단원은 물질 변화와 화학반응식에 대하여 배웁니다. 물질 변화에는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물질의 성질이 변하는지 안 변하는지에 따라서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로 나누게 되고, 원자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을 구성할 때 ..

중3과학 2025.03.10

중학교 2학년 과학 1학기 목차

2학년이 된 여러분 축하드립니다. ^^ 중학교에 입학한 지 벌써 1년이란 시간이 흘러서 성숙한 2학년이 되었네요. 과학? 어떠세요? 어렵다? 쉽다? 그냥 별로? 아무 생각이 없다 등등 다양한 의견이 있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오늘은 중학교 2학년 과학 목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2 과학은 총 8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보통 1학기에는 1단원부터 4단원, 2학기에는 5단원부터 8단원까지 학습을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입니다. 다만, 학교 선생님에 따라서 1학기와 2학기에 배우는 범위는 다를 수 있어요.  중2 과학 첫번째 단원은 물질의 구성입니다. 3개의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생소한 단어, 많이 들어본 단어도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물체는 우리가 사용하는 도구이고, 이런 도..

중2과학 2025.03.07

중학교 1학년 과학 1학기 목차 - <22개정판>

25학년도 중학교에 입학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초등학교에서 벗어나서 이제 당당하게 청소년이 된 여러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여러분부터는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학습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양한 변화가 생기겠지만, 특히 학습 부분에서는 걱정보다는 자신감을 갖고 도전해 보세요~ 끈기 있게~~~ 꾸준하게~~~  중학교 1학년 과학은 크게 8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1단원부터 4단원까지 1학기, 5단원부터 8단원까지 2학기로 학습을 합니다만, 학교 선생님에 따라서 순서를 바꿔서 학습을 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1단원부터 순서대로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단원은 과학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이란 제목으로 총 3개의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첫번째는 생활 속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인 탐..

중1과학 2025.03.04

중1 수학 일차방정식 활용 문제중 긴의자에 앉는

요즘 수학을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중1 수학부터 차근차근하고 있다가 오늘 일차방정식 활용문제 중 의자수와 학생수의 등식을 성립하여 문제를 푸는 것 보도록 하겠습니다.문제는 다음과 같아요.강당의 긴 의자에 학생들이 앉으려고 합니다. 의자 한 개에 10명씩 앉으면 4명이 앉지 못하고, 의자 한 개에 11명씩 앉으면 모두 앉을 수 있지만, 맨 마지막 의자에는 6명이 앉는다면, 학생수는 총 몇 명인가요??sol)우선 이 문제에는 학생수, 의자수 아무것도 모르죠. 그래서 미지수로 해야 하는데, 그럼 미지수가 2개가 되네요... 식은 하나인데, 미지수가 2개인 식을 풀 수는 없죠. 그래서 어떻게 할까? 조건이 있어요. 바로 의자수와 학생수는 정해져 있다는 것인데요, 의자 한 개에 10명씩 앉을 때 학생수와 11..

중1수학 2025.01.23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약수 구하기

약수는 어떤 자연수를 나누었을 때 딱 떨어지는 수를 말합니다. 4를 2로 나누면 몫이 2가 되고, 나머지는 0으로, 딱 떨어지는 수이죠? 그럼 2는 4의 약수가 됩니다. 이 부분은 초등학교 5학년때 배웠습니다. 이해가 되시죠?4의 약수는 1,2,4 이렇게 3개가 있죠? 그럼 12의 약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구할 수 있죠? 오늘은 약수를 구할 때 소인수분해로 구하고, 또 굳이 약수를 안 구하고도 소인수분해로 약수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까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연수 (an)의 약수와 약수의 개수자연수 an(a는 소수, n은 자연수)에 대하여 an의 약수는 1, a,  a2, a3,......an 이고, 약수의 개수는 1과 n개 (a, $ a..

중1수학 2025.01.16

소인수분해

수학을 다시 공부하고 있는 아빠입니다. 중학교 1학년 수학 두 번째 시간에는 앞에서 했던 소수를 가지고 소인수 분해를 하려고 합니다. 소인수 분해에서 인수는 자연수 a, b, c가 있다면 a = b X c라고 했을 때 b와 c를 a의 인수라고 합니다.즉, 어떤 정수를 곱의 식으로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6 = 2 X 3 이죠? 그럼 6의 인수에는 2와 3이 되는 것이죠?초등학교때 배울 때는 이런 부분이 없었는데.. 벌써부터 짜증 나고, 어렵고.. 이런 생각이 들 수 있는데요, 처음부터 잘하는 친구도 있겠지만, 못하는 친구도 있고, 여러분이 운동을 할 때 타고난 체질이 아니라면... 열심히 연습하면 되는 것처럼 공부도 똑같아요. 열심히 개념공부하고 문제 풀고.. 하다 보면 좋은 결과가 오니까 힘..

중1수학 2025.01.15